본문 바로가기
건강상식

산과 부인과 차이 뭘까? 제대로 아는 법

by 로니야 2025. 4. 21.

“임신하면 산과, 생리통은 부인과… 맞는 걸까요?”


산과와 부인과 차이, 알고 나면 병원 선택이 달라집니다.

 

이름만 비슷해서 무심코 지나쳤다면 오늘 이 글, 끝까지 읽어보세요.


언제 산과를 가야 하는지, 부인과는 어떤 진료를 보는지 한 번에 정리해드립니다.

 

산과, 부인과 같아 보여도 다르다? 핵심부터 정리

병원 이름에 ‘산부인과’라고 쓰여 있어서 보통 한 군데에서 다 본다고 생각하는데요.


실제로 산과와 부인과는 전문 분야가 다릅니다.


간단히 말하면, 산과는 ‘임신과 출산’을 중심으로, 부인과는 ‘여성 질환과 생식기 건강’을 중심으로 진료하는 과랍니다.

 

조금 더 쉽게 설명드릴게요.

 

구분 산과 부인과
주 진료 대상 임산부 모든 여성
주요 진료 내용 임신 확인, 산전검사, 출산, 고위험 임신 등 생리통, 질염, 자궁근종, 난소 질환 등
진료 시기 임신 전~출산 후 월경 이상, 통증, 질 분비물 변화 등
남성 진료 여부 불가능 불가능

 

‘산부인과’는 왜 둘 다 있는 걸까?

병원 간판에 적힌 ‘산부인과’는 사실 두 과를 합쳐서 운영하는 경우예요.


대부분의 산부인과는 산과 전문의와 부인과 전문의가 함께 진료하죠.


하지만 규모가 큰 병원에서는 산과와 부인과가 명확히 나뉘어 진료를 담당합니다.


고위험 임신 환자는 산과 전문의가, 자궁내막증이나 자궁경부암 검사는 부인과 전문의가 맡는 구조예요.

 

즉, 같은 건물 안에서도 누가 담당하느냐에 따라 진료 분야가 다르다는 말이죠.

 

병원 선택, 이렇게 하면 실수 없다

진료 목적에 따라 병원을 선택하는 게 중요한데요,

 

임신 확인, 태아 검사, 출산 관련 상담이 목적이라면 ‘산과 전문의’


생리 이상, 질 분비물 변화, 자궁·난소 관련 통증이라면 ‘부인과 전문의’를 선택하면 됩니다.

 

혹시 헷갈린다면 예약할 때 목적을 명확히 말하면 접수 시 안내를 받을 수 있어요.


그리고 중요한 포인트!


부인과 진료는 임신하지 않은 여성도 정기적으로 받아야 한다는 점, 많은 분들이 놓치고 있더라고요.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산부인과 진료는 산과, 부인과 따로 예약해야 하나요?
A. 대부분의 병원은 함께 운영되며, 접수 시 목적에 따라 의사가 정해집니다.

Q2. 생리통이나 질염은 산과에서 봐주지 않나요?
A. 원칙적으로는 부인과 진료에 해당하지만, 산부인과 의사가 함께 보기 때문에 병원에서는 진료가 가능합니다.

Q3. 임신을 준비 중인데 어디로 가야 하나요?
A. 임신 계획 단계라면 ‘산과’ 진료가 적합합니다. 배란 체크나 가임기 상담 등을 받을 수 있습니다.

Q4. 부인과는 몇 살부터 가야 하나요?
A. 생리를 시작한 여성이라면 증상이 없어도 16세 이상부터 1~2년에 한 번 정기 검진을 권장합니다.

Q5. 산과에서도 자궁근종을 치료할 수 있나요?
A. 산과에서는 일반적으로 다루지 않습니다. 자궁근종, 자궁내막증 등은 부인과 진료 영역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