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짜배기정보

일용직 퇴직금 지급규정 조건 총정리

by 로니야 2025. 7. 1.

“일용직은 퇴직금 못 받는다던데… 진짜예요?”
이런 얘기, 주변에서 한 번쯤 들어보셨죠.
하지만 정확한 지급 기준을 알면, 퇴직금을 못 받을 이유가 없습니다.

1년 이상 근무했고, 주 15시간 이상 일했다면,
당당히 퇴직금을 요구할 수 있어요.

이 글에서는 복잡한 법률 용어 없이,
현장에서 바로 적용 가능한 기준과 계산법
쉽고 명확하게 정리해드립니다.

끝까지 읽으면,
“왜 내 퇴직금은 안 나왔지?” 라는 의문이 풀릴 거예요.
아래에서 확인해보세요.

일용직, 퇴직금 못 받는다고요? 조건만 되면 받을 수 있어요

많은 분들이 “일용직은 퇴직금이 없다”고 오해하시는데요.
실제로는 근로자퇴직급여 보장법에 따라 일정 조건만 충족하면 퇴직금 대상이 됩니다.

핵심은 2가지 조건입니다.

  • 계속 근무기간이 1년 이상일 것
  • 1주 평균 15시간 이상 근무했을 것

이 2가지를 모두 만족하면,
계약서에 ‘일용직’이라 적혀 있더라도 퇴직금을 받을 수 있어요.

경험상, 건설현장처럼 반복적인 고용이 이루어지는 곳에서는
실제로는 고용관계가 끊기지 않고 이어진 경우가 많았습니다.

단순히 계약이 하루 단위라는 이유로 퇴직금을 못 받는 건 아닙니다.

퇴직금 계산, 얼마 받을 수 있을까?

기본적으로 퇴직금 = 1일 평균임금 × 30일입니다.

예를 들어,
1일 평균임금이 9만 원이라면
9만 원 × 30일 = 270만 원이 되는 거죠.

여기서 중요한 포인트는,
통상임금보다 평균임금이 적을 경우엔 통상임금 기준으로 계산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이럴 땐 고용노동부 퇴직금 계산기를 활용하면 정말 편리해요.

퇴직금 계산하기

 

내일을 위한 고용노동부 - 고용노동부가 밝은 미래를 열어드립니다

 

www.moel.go.kr

퇴직금 안 주는 사업주, 어떻게 대응하죠?

퇴직 후 14일 이내에 퇴직금을 받지 못했다면,
고용노동부 민원센터를 통해 신고할 수 있어요.

그리고 중요한 팁 하나!
고용관계가 지속됐다는 근거 자료를 모아두세요.

  • 급여 입금 내역
  • 근무 스케줄
  • 현장 출입기록 등

이런 자료들이 ‘실제 근로 관계가 있었다’는 증거가 됩니다.

예전 현장 동료는 주휴수당만 챙기다 퇴직금은 못 챙겼는데,
알고 보니 퇴직금 대상자였더라고요.
이 글을 보시는 분들은 절대 놓치지 마세요!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일용직도 주휴수당과 퇴직금을 동시에 받을 수 있나요?
A. 가능합니다. 조건만 충족되면 둘 다 지급 대상입니다.

Q2. 1주일에 3일씩 1년 넘게 일했는데 퇴직금 받을 수 있나요?
A. 주 15시간 이상이면 가능합니다. 날짜보다 시간이 핵심입니다.

Q3. 계약서에 '퇴직금 없음'이라고 적혀 있어도 받을 수 있나요?
A. 법적 조건이 충족되면 계약 내용과 무관하게 지급 대상입니다.

Q4. 퇴직금을 언제까지 줘야 하나요?
A. 퇴직일로부터 14일 이내입니다. 안 주면 법적 조치 가능합니다.

Q5. 계속근로 1년을 어떻게 증명하나요?
A. 근무일지, 급여 입금내역, 출입기록 등을 통해 입증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