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짜배기정보

빙부상 뜻과 조의금 얼마?

by 로니야 2025. 4. 10.

“빙부상”이라는 말을 듣고 순간 당황하신 적 있으신가요?
특히 직장 동료나 지인의 부고 소식에서 접하게 되면, 어떤 관계인지 헷갈릴 때가 많죠.
이번 글에서는 '빙부상 뜻' 뿐만 아니라 조문할 때 유의해야 할 예절, 조의금 금액까지 깔끔하게 정리해 드릴게요.
끝까지 읽으시면 어색한 상황에서도 당황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대처할 수 있답니다!

빙부상, 도대체 무슨 뜻일까?

먼저 '빙부상' 뜻부터 정확히 짚어볼게요.
빙부(聘父)란 바로 '사위 입장에서 처가의 아버지', 즉 장인어른을 뜻하는 말입니다.
따라서 빙부상은 '장인어른이 돌아가신 상황'을 의미하는데요.
흔히 부고장이나 공지에서 접하게 되지만, 평소에 잘 사용하지 않는 단어라 순간 헷갈릴 수 있어요.

명확히 정리하자면,

용어
빙부상 장인어른께서 돌아가신 경우
빙모상 장모님께서 돌아가신 경우
선친상 돌아가신 아버지에 대한 표현
선비상 돌아가신 어머니에 대한 표현

이렇게 구분하면 기억하기 훨씬 쉽답니다.

조문할 때 어떻게 해야 할까? 빙부상 예절 체크

빙부상 소식을 접했을 때 직장 동료나 지인의 경우에는 조문이 예의인데요.
관계의 깊이에 따라 조문 여부가 달라질 수 있죠.
가까운 사이면 장례식장에 직접 찾아가 위로를 전하는 것이 좋고, 거리가 있거나 물리적으로 어려울 때는 조의금을 전달하는 것도 괜찮답니다.

특히 처가의 부모님이시기 때문에 배우자에게 큰 위로가 필요한 시기죠.
직접 가지 못하더라도 따뜻한 메시지 한마디라도 꼭 전하는 게 예의랍니다.

조의금, 얼마가 적당할까? 고민 끝!

빙부상 조의금은 관계에 따라 금액이 달라질 수 있는데요.
평균적으로는 아래와 같습니다.

관계 평균 조의금
가까운 지인 5만 원 ~ 10만 원
직장 동료 3만 원 ~ 5만 원
친척 10만 원 이상

너무 적어도 민망하고, 너무 과하면 오히려 부담스러울 수 있답니다.
진심을 담되, 과하지 않게 전달하는 것이 포인트예요.

마음을 전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무엇보다 중요한 건 금액보다 진심 어린 위로입니다.
빙부상은 배우자 가족이 겪는 큰 슬픔이기에, 작은 배려와 따뜻한 말 한마디가 큰 힘이 되죠.
조문 시에는 복장은 단정하게, 인사말은 간결하고 진중하게 전하는 것이 예의랍니다.